top of page
Image by Jr Korpa

도박 중독

자기를 위해서나, 타인을 위해서나, 돈을 위해서건 아니건, 아무리 작고 사소한 것이라도, 결과가 불확실한 것에나, 우연 또는 손재주, 기술에 의존하는 것에 어떤 내기를 거는 행위이다.  

1

정의

자기를 위해서나, 타인을 위해서나, 돈을 위해서건 아니건, 아무리 작고 사소한 것이라도, 결과가 불확실한 것에나, 우연 또는 손재주, 기술에 의존하는 것에 어떤 내기를 거는 행위.  
“도박에 대한 통제력을 연속적으로 혹은 주기적으로 상실하는 점진적인 장애”로 “도박을 통해 돈을 딸 것에 대한 집착, 비합리적 사고, 그 결과가 혐오적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행동하는 특징” (로젠탈의 정의)

1) 도박을 하고 싶은 충동을 통제할 수 없는 심리적 장애

2) 병적도박은 결국에는 도박에 의존하게 되는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행동 장애

3) 병적도박은 도박으로 인해 개인적, 직업적 생활과 가족생활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도박의 종류>

  • 놀이도구 사용 : 화투, 마작, 카드(포커, 훌라, 바카라, 블랙 잭 등), 장기, 바둑, 체스 등

  • 기계 사용 : 카지노(슬롯 머신, 비디오 게임), 성인오락(바다이야기, 스크린경마 등)

  • 추첨 방식 : 복권

  • 스포츠 경기 : 경마, 경륜, 경정

  • 동물 경기 : 투견, 소싸움 등

  • 인터넷 사용 : 인터넷 도박, 성인용 사행성PC방

2

자가진단

  1.  일, 공부 대신 도박으로 시간을 보낸 적이 있다.

  2.  도박이 가정을 불행하게 했다.

  3.  도박이 내 평판에 나쁜 영향을 미쳤다.

  4.  도박한 것을 후회한 적이 있다.

  5.  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박을 했다.

  6.  도박이 능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됐다.

  7.  도박으로 잃은 돈을 도박으로 되찾겠다고 생각했다.

  8.  돈을 딴 후에도 더 따야겠다는 충동을 느꼈다.

  9.  수중의 돈이 떨어질 때까지 도박을 한다.

  10.  도박을 하기 위해 돈을 빌렸다.

  11.  돈이 될 만한 것을 팔아서 도박을 했다.

  12.  도박 밑천 생각에 생활비조차 아깝다.

  13.  도박으로 가족들과의 생활이 소홀해졌다.

  14.  계획했던 시간 이상으로 도박을 했다.

  15.  걱정거리를 피하기 위해 도박을 했다.

  16.  밑천 마련을 위해 나쁜 일을 계획하거나 해본 적이 있다.

  17.  도박이 수면을 어렵게 했던 적이 있다.

  18.  부부싸움. 의견대립. 실망 등이 도박 충동을 일으킨다.

  19.  단기간에 도박으로 큰 돈 벌겠다는 충동을 느꼈다.

  20.  도박 문제로 자살, 자해 행위를 생각했다.

<자료=세계 단 斷)도박협회>

       위의 문항 중 7개 이상 해당하면 도박중독

3

경고증상 / 재발징후

외적 행동   자제력의 장애   금단증상, 내성   일상생활의 기능 손상

  • 가족, 친구 또는 여가활동에는 거의 시간을 투자하지 않는다.

  • 과거와 같은 흥분을 얻기 위해 더 많은 베팅을 하게 된다.

  • 도박중독자들은 돈에 대하여 숨기고 방어적이며, 친구들이나 친지로부터 돈을 빌린다.

  • 재정적 또는 여타문제의 해결을 위해 ‘한탕’을 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 도박중독자들은 도박을 줄이거나 끊을 수 있다고 약속하지만 쉬운 일이 아니다.

  • 도박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오랫동안 집이나 직장을 멀리하거나, 전화 횟수가 비정상적으로 많아진다.

  • 도박을 하지 못하게 되면, 기분이 나빠지고, 소외감을 느끼며, 낙담하고 초조해진다.

  • 생일,친목활동,가족모임 등과 같은 가족행사에 늦거나 참여하지 않는다.

  • 저녁 외출이나 가족 휴가 시에도 도박이 가능한 곳을 고른다.

병적 도박은, 돈을 잃은 후에 (혹은 딴 후에) 잃은 돈을 만회하기 위해 (혹은 더 많은 돈을 따기 위해)더 많은 돈을 건다. 

따라서 가족이나 치료자, 주의 사람들에게 도박에 개입된 상황을 숨기기 위해 계속 거짓말을 한다. 

도박으로 인해 절망적인 상태에 빠지고, 벗어나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경제적 도움을 의지한다. (절도, 사기, 횡령, 매춘 등 불법적인 행동을 저지르기도 한다.)

***또한, 본인이 감당하기 어려운 스트레스 상황에서, 쉽게 다시 재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트레스 대처 훈련이 필수.

4

치유 / 예방

1)심리 상담 치료 

도박과 관련하여 개인의 성격적 측면, 대인관계의 어려움, 스트레스 및 우울증, 적응장애,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고통 받는 분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가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도박으로 인해 가족들 또한 의심병과 노이로제, 우울증, 경제적 어려움 등의 고통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한 대처 방안과 새롭게 가족을 재건하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다.

 

2)병원입원치료 

중독에 대한 충동이 강하거나 심한 금단현상으로 고통을 받는 경우 입원 및 약물치료를 통해 금단현상으로 인한 고통을 감소시키고 심신의 건강을 되찾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3)자조모임(Gambling Anonymous) 

도박중독에 빠졌던 사람들이 모여 서로의 경험과 지식을 나누고, 사례발표 등을 통해 의지력을 키우는 자조모임(단도박 모임 등)에 참석한다.

Image by Jr Korpa

모든 중독은 발병원인 (유전적, 신경생물학적, 심리사회적), 임상적 진단 및 치료방법이 유사하며, 한 가지 중독에서 벗어나더라도 다른 중독으로 이행될 수 있다. 따라서 중독의 대상이 다를 뿐 기본적으로 모든 중독은 동일한 질환이다. -Model of Addiction Syndrome(Howard Shaffer 2004)

bottom of page